지난 10년간 비트코인 채굴이 눈에 띄게 변했다. 석탄, 석유, 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연료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암호화폐 연구기관 미카 크립토 얼라이언스(MiCA Crypto Alliance)와 데이터 분석 플랫폼 노디엔스(Nodiens)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변화는 석탄 사용량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2011년 63%였던 석탄 비중이 2024년에는 20%로 줄어들었다.
비트코인 채굴 산업에서 석탄 의존도가 낮아진 대신 재생 가능한 에너지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 비중은 평균적으로 매년 약 8.5%씩 차지하고 있다. 이는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해당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비트코인 ‘친환경’ 채굴 산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탄소 배출량 또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카(MiCA) 보고서는 향후 2030년까지 비트코인 채굴로 인한 에너지 사용 전망을 5가지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비트코인 가격대로 그 기준을 설정했다. 시나리오는 비트코인(BTC)당 $10,000 약세부터 $1,000,000 초강세까지 다양하다. BTC당 약 $250,000는 중간 기준에 해당한다. 해당 시나리오에서는 원자력을 제외한 재생 에너지가 전체 채굴 전력의 절반 이상(59.3%), 많게는 74.3%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가상화폐 시장 분석 업체인 NYDIG의 기존 예상과도 일치한다. NYDIG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 시나리오에서 2020년 대비 약 11배의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에너지 비중은 전 세계 1차 에너지 사용량의 약 0.4%, 전기 생산량의 약 2%을 차지할 것으로 추측된다.
비트코인 채굴이 친환경으로 전환을 꾀하고 있는 한편, 전 세계 석탄 소비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4년 세계 석탄 사용량은 약 88억 톤이었다.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에서 석탄 사용량을 늘리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최소 2027년까지 석탄 수요는 최고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에너지 소비에 대한 우려에도 비트코인 채굴 산업이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과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강수지 편집자는 UC 버클리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전공하여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기술 내용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현재 CryptoDnes Korea에서 편집자로 근무하고 있으며, 콘텐츠 기획부터 발행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지고 암호화폐를 널리 알리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최신 정보, 인기 코인 추천, 알트코인 입문 가이드 등을 주로 다룹니다.